금융규제 샌드박스로 금융혁신에 더 가까이 가겠습니다.

컨설팅 신청
제도 신청하기 전 맞춤형
컨설팅을 받아보세요.
자주하는 질문
궁금한 사항을 자주하는
질문을 통해 확인해보세요.
카드뉴스
카드뉴스에서 여러가지 소식과
정보를 한눈에 확인해보세요.
1:1 문의
궁금한 사항을 직접 문의하고 빠르게
답변 받아보세요.
문의 안내
02-6375-1525(컨설팅 신청)
02-6375-1523(제도 신청)
sandbox@fintech.or.kr
금융규제 샌드박스
지정 및 선정 현황
-
혁신금융서비스 지정(서비스 출시 207 건)
549건 -
지정대리인 지정
37 건 -
위탁테스트 선정
51 건 -
Total
637 건
금융규제 샌드박스의
새로운 소식을 만나보세요.
공지사항
-
(공지사항)
임시저장test
<p>test</p>2025.06.11
-
(공지사항)
임시저장
<p>115464968</p>2025.06.05
-
(공지사항)
개발[공고] ’25년 제1차 혁신금융서비스 지정 신청 공고
<p>금융위원회 공고 제2025-118호</p> <p> </p> <p> 「금융혁신지원 특별법(이하 “법”이라 한다)」제5조 제2항에 따라 다음과 같이 혁신금융서비스 지정 신청 기간을 공고하오니, 신청하고자 하는 회사는 ’25.3.17.(월)~3.28.(금)의 기간 동안 신청서를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</p> <p> </p> <p>2025년 2월 25일</p> <p> </p> <p>금융위원회위원장</p> <p> </p> <p> </p> <p>□ <strong>신청기간: '25.3.17(월) ~ 3.28.(금)</strong></p> <p> * 홈페이지에 <strong>전자적 형태로 신청서를 제출한 시점 기준</strong>(신청서 원본은 ‘25.4.2일(수)까지 발송)이며, <strong>마감일 오후 </strong><strong>6</strong><strong>시</strong>까지 신청 가능</p> <p> </p> <p>□ <strong>신청분야 </strong><strong>: </strong><strong>모든 금융서비스 분야</strong></p> <p> </p> <p> </p> <p>□ <strong>신청방법</strong></p> <p>ㅇ 필요한 <strong>제출 서류</strong>를 작성하여 <strong>금융규제샌드박스 홈페이지</strong>에 <strong>제출</strong><strong>* </strong>(→ 본 공고문 “4. 제출 서류” 참고)</p> <p>* 금융규제샌드박스 홈페이지(sandbox.fintech.or.kr) - 「제도 신청」 - 「신청 방법」 - 「혁신금융서비스」 - 하단 「지정 신청하기」</p> <p> </p> <p>- 혁신금융서비스 <strong>지정 신청서</strong><strong>(</strong><strong>날인본</strong><strong>)</strong>는 <strong>등기우편</strong>으로도 제출(필수)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*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</p>2025.02.25
-
(공지사항)
[안내] 4.4(금) 제3회 핀테크 오픈 네트워킹 데이 개최 안내
<p>안녕하세요,</p> <p>한국핀테크지원센터 입니다.</p> <p> </p> <p><strong>금융위원회</strong>와 <strong>핀테크 지원 협의체</strong>는</p> <p>오는 <strong>4월 4일 금요일, 제3회 핀테크 오픈 네트워킹 데이 행사</strong>를 개최합니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✅ <strong><a href="https://docs.google.com/forms/d/e/1FAIpQLSfsz4Hg9WV7i6SdsM2yv71kpJOfigN_BE668H27BwpzJCioww/viewform" target="_self">참가신청 바로가기</a></strong></p> <p> </p> <p>본 행사에서는</p> <p><strong>금융회사 및 정책금융기관 투자 담당자</strong> 및 <strong>4개 투자운용사와</strong></p> <p><strong>핀테크 기업 간</strong>의 <strong>상담 부스</strong>가 마련되며,</p> <p>해외진출 지원방안 및 협력사례 발표가 진행됩니다.</p> <p>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석 부탁 드립니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<strong>✅ 행사 소개</strong> </p> <p> </p> <p>? 개요</p> <p><strong>- 일시:</strong> 2025.4.4.(금) 14:00~16:30<br /> <strong>- 장소:</strong> 우리은행 본점 4층 비전홀, 도전룸 (서울 중구 소공로 51) (<a href="https://map.naver.com/p/search/%EC%9A%B0%EB%A6%AC%EC%9D%80%ED%96%89%20%EB%B3%B8%EC%A0%90/place/12127345?placePath=?entry=pll&from=nx&fromNxList=true&searchType=place">네이버지도 바로가기</a>)<br /> <strong>- 주최:</strong> 금융위원회, 우리금융그룹, 한국핀테크지원센터<br /> <strong>- 참석대상:</strong> 핀테크 기업, 금융위원회, 금융회사, 정책금융기관, 투자기관 등</p> <p><strong>- 내용:</strong> 핀테크 지원 협의체 MOU, 금융회사/VC-핀테크 기업 상담, 네트워킹 등</p> <p><em>※ 행사 당일 주차가 불가하오니, 대중교통 이용 부탁 드립니다.</em></p> <p> </p> <p>? 참석 예정기관(안)</p> <p>- (금융위원회) 금융위원장, 디지털금융정책관 등</p> <p>- (금융회사) 우리, 신한, KB, 하나, NH, BNK, DGB 금융지주, 교보생명</p> <p>- (정책금융기관) 산업은행, 기업은행, 신용보증기금</p> <p>- (유관기관) 은행권청년창업재단, 한국성장금융, 한국핀테크지원센터, 한국핀테크산업협회</p> <p>- (투자사) SK증권, 미래에셋벤처투자, 코로프라넥스트코리아, 키움인베스트먼트</p> <p> </p> <p>? <a href="https://docs.google.com/forms/d/e/1FAIpQLSfsz4Hg9WV7i6SdsM2yv71kpJOfigN_BE668H27BwpzJCioww/viewform" target="_self">참가신청 바로가기</a></p> <p> </p> <p>? 관련 문의</p> <p>- 우리금융지주 이진이 과장 (02-2125-2391)</p> <p>- 한국핀테크지원센터 한현탁 부장 (02-6375-1512)</p> <p> </p> <p>? 참고 </p> <p>- 제1회 행사 <a href="https://www.fsc.go.kr/no010101/81579?srchCtgry=&curPage=&srchKey=sj&srchText=%EC%98%A4%ED%94%88+%EB%84%A4%ED%8A%B8%EC%9B%8C%ED%82%B9&srchBeginDt=&srchEndDt=">보도자료 바로가기</a></p> <p>- 제2회 행사 <a href="https://www.fsc.go.kr/no010101/83429?srchCtgry=&curPage=&srchKey=sj&srchText=%EC%98%A4%ED%94%88&srchBeginDt=&srchEndDt=">보도자료 바로가기</a></p> <p> </p> <p> </p> <p>감사합니다?</p> <p> </p> <p><img alt="" src="https://sandbox.fintech.or.kr/api/image/796c2248-67cc-4d38-b39a-50c9f0991894/download.do" style="height:1415px; width:800px" /></p>2025.02.24
보도자료
-
(보도자료)
ㅁㅁasdasd
<p>ㅁㅁ444asdsadasd<img alt="" height="1415" src="http://localhost:8401/api/image\1ce72bda-5014-48b7-9186-f2670d15cad2/download.do" width="800" /></p>2025.06.12
-
(보도자료)
[보도자료] “한국을 넘어 세계로, K-핀테크 피어나다” 「제3회 핀테크 오픈 네트워킹 데이」 개최
<p> </p> <table border="1" cellpadding="1" cellspacing="1" style="width:1500px"> <tbody> <tr> <td> <h1> </h1> <h1> “한국을 넘어 세계로, K-핀테크 피어나다”</h1> <p> </p> <h1> 「제3회 핀테크 오픈 네트워킹 데이」 개최</h1> <p> </p> <p> </p> </td> </tr> <tr> <td style="vertical-align:middle"> <h2> </h2> <p> </p> <h2> -금융회사 등 핀테크 해외진출을 유기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업무협약 체결</h2> <p> </p> <p> </p> <h2> -해외 박람회에 K-핀테크관 설치 등 해외진출 프로그램 참가 기업 설명회</h2> <p> </p> <p> </p> <h2> -금융회사의 핀테크 기업 지원 계획 및 공동 해외진출 우수 사례 공유</h2> <p> </p> <p> </p> </td> </tr> </tbody> </table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금융위원회는 4월 10일(목), 우리은행 본점(회현)에서“한국을 넘어 세계로, K-핀테크 피어나다”를 주제로 「제3회 핀테크 오픈 네트워킹 데이」(이하 “오픈 네트워킹 데이”) 행사를 개최하였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 이번 오픈 네트워킹 데이는 금융위원회와 우리금융그룹이 공동으로 주관하고, 핀테크 기업·금융회사·투자기관 등이 참여하는 행사이며, 핀테크 기업들에게 올해 핀테크 정책방향인“K-핀테크 글로벌화를 통한 성장(Scale-up) 지원*”에 대한 계획을 소개하고, 금융회사 투자담당자·모험자본(VC)이 투자 상담을 진행하는 종합적인 교류의 장이다.</p> <p> </p> <p> * ’25년 제1차 핀테크 지원협의체(’25.2.6일 금융위원장 주재)</p> <p> </p> <p> </p> <p> 주요 행사로는 </p> <p>➊금융회사 등의 핀테크 기업 해외진출 지원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식(MOU), </p> <p> </p> <p>➋정부의 핀테크 특화 해외진출 지원 프로그램 설명회, </p> <p> </p> <p>➌금융회사의 핀테크 기업 지원 계획 및 공동 해외진출 사례 발표, </p> <p> </p> <p>➍핀테크 기업에 대한 투자 상담 등이 진행되었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table border="1" cellpadding="1" cellspacing="1" style="width:1000px"> <tbody> <tr> <td style="background-color:lightyellow"> <p> </p> <h3> ▪ 일시·장소:’25.4.10(목) 14:00, 우리은행 본점(회현)</h3> <p> </p> <h3> ▪ 참석자: 핀테크 산업 구성원, 금융회사(8개), 투자기관(4개), 정책금융기관(3개) 및 한국핀테크지원센터, 한국핀테크산업협회, 한국성장금융 등 유관기관</h3> <p> </p> <p> </p> </td> </tr> </tbody> </table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김병환 위원장은 행사를 축하하며 핀테크와 금융은 경쟁자가 아닌 동반자라는 것을 강조하며, K-금융의 글로벌화도 금융회사와 핀테크가 협업을 통해 가속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발언하였다.</p> <p> </p> <p>아울러, 이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금융지주의 핀테크 출자·소유 규제* 완화를 차질 없이 추진(’25.4월 중 금융지주회사법령 개정안 입법예고 예정)하겠다고 밝혔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 * 금융지주회사의 핀테크 기업에 대한 출자 제한을 완화(5%→15%),<br /> 금융지주회사 자회사인 핀테크 기업의 업무 연관성 있는 자회사 소유 허용 등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또한, 김병환 위원장은 국내 은행과의 협업을 통해 해외에 진출한 핀테크 기업의 전시부스를 방문하여 성과를 청취하고 격려하였다. 이 기업은 해외 현지에서 여행객이 카드 없이 국내 애플리케이션(Application)으로 외화를 출금할 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하여 태국 등 동남아시아 시장을 개척 중이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행사를 공동 주관한 우리금융그룹 임종룡 회장은 핀테크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혁신을 위해 해외시장 진출 도전은 필수적이며, 투자 및 공동 해외진출 등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이를 위해 우리금융그룹을 포함한 핀테크 지원협의체 참여기관들은 핀테크 기업의 해외진출을 유기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업무협약*을 체결하였다. 이를 바탕으로 협약기관 간 협조체계를 구축하여 핀테크 기업의 성장 및 해외 진출을 전폭적으로 도울 예정이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* 농협금융지주㈜, ㈜신한금융지주회사, ㈜우리금융지주, ㈜하나금융지주, ㈜KB금융지주, ㈜iM금융지주, ㈜BNK금융지주, 교보생명보험㈜, 한국산업은행, 중소기업은행, 신용보증기금, 은행권청년창업재단,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㈜, 한국핀테크산업협회, 한국핀테크지원센터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이어서, 한국핀테크지원센터와 금융회사(우리·신한·KB·하나금융)의 발표가 진행되었다. 핀테크지원센터는 정부가 마련한‘2025년 핀테크 특화 해외진출 지원 프로그램’일정과 참가기업 모집 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였다. 정부는 금년 중 해외 주요 전시회(룩셈부르크(6월), 미국(10월), 싱가포르(11월))에 K-핀테크 공동관을 운영하고, 참가 기업에 대해 현지 네트워킹 프로그램, 역량강화 교육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< Nexus Luxembourg(6월) 전시회 참가 지원 안내 ></p> <p> </p> <p> </p> <table border="1" cellpadding="1" cellspacing="1" style="width:1000px"> <tbody> <tr> <td style="background-color:lightyellow"> <h3> 행사 개요</h3> </td> <td> <p> </p> <p>● 룩셈부르크에서 개최되는 핀테크, 인공지능, 보안, 헬스테크 등<br /> 기술, 지속 가능성 분야의 국제 박람회</p> <p> </p> <p> ⇨ K-핀테크 공동관 마련 및 현지 프로그램 운영 예정</p> <p> </p> </td> </tr> <tr> <td style="background-color:lightyellow"> <h3> 기업 선발 관련</h3> </td> <td> <p> </p> <p>● 모집 일정: 4월말~5월 예정</p> <p> </p> <p>● 주요 평가지표: 계획의 구체성, 글로벌 사업성, 기술적 우수성 등</p> <p> </p> <p>● 업력 제한 없이 실적과 성장가능성이 검증된 기업을 선발 예정</p> <p> </p> </td> </tr> </tbody> </table> <p> </p> <p>* 세부사항 및 그 외 프로그램은 추후 안내 예정</p> <p> </p> <p> </p> <p> 다음으로, 우리·신한·KB·하나금융도 핀테크 해외진출 지원 방안 및 우수 협력 사례를 발표했다. 이들은 그룹 차원의 협업 및 해외 보육시설(핀테크랩)과 지점 연계를 통한 지원 방안을 설명하고, 성공적인 해외진출 사례를 소개하며 향후 핀테크 기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< 금융회사 발표 주요 내용 ></p> <p> </p> <p> </p> <table border="1" cellpadding="1" cellspacing="1" style="width:1000px"> <tbody> <tr> <td style="background-color:lightyellow"> <h3> 기관명</h3> </td> <td style="background-color:lightyellow"> <h3> 주요 현지 지원계획</h3> </td> <td style="background-color:lightyellow"> <h3> 주요 해외진출 사례</h3> </td> </tr> <tr> <td style="background-color:lightyellow"> <h3> 우리금융그룹</h3> </td> <td> <p>· (2분기) 디노랩 베트남 2기 선발</p> <p> </p> <p> </p> <p>· (3분기) 하노이 글로벌 데모데이 개최</p> </td> <td> <p> </p> <p>· 인포플러스(베트남)</p> <p> </p> <p> </p> <p> - CMS, API 솔루션 제공</p> <p> </p> </td> </tr> <tr> <td style="background-color:lightyellow"> <h3> 신한금융그룹</h3> </td> <td> <p>· (4월) 퓨처스랩 신규 선발</p> <p> </p> <p> </p> <p>· (~8월) 인큐베이션, 법인 설립 지원<br /> 멘토링/협업 연계</p> <p> </p> <p> </p> <p>· 일본(5월), 베트남(9월) 현지 밋업·네트워킹</p> <p> </p> </td> <td> <p>· 퀀팃(베트남)</p> <p> </p> <p> </p> <p> - 증권 AI 운영 신상품 개발</p> </td> </tr> <tr> <td style="background-color:lightyellow"> <h3> KB금융그룹</h3> </td> <td> <p> </p> <p>· (4월) KB스타터스(싱가포르) 15개사 내외 선발,<br /> KB 해외 네트워크 오픈이노베이션 참여기업 모집</p> <p> </p> <p>· (6월) 해외 글로벌 기업 오픈이노베이션 참여기업 모집</p> <p> </p> <p>· (4분기) 글로벌 투자 유치를 위한 현지 데모데이 개최</p> <p> </p> </td> <td> <p> </p> <p>· 에이젠글로벌(인도네시아)</p> <p> </p> <p> - 자산관리 솔루션 제공</p> <p> </p> </td> </tr> <tr> <td style="background-color:lightyellow"> <h3> 하나금융그룹</h3> </td> <td> <p> </p> <p>·별도 안내 예정</p> <p> </p> </td> <td> <p> </p> <p>· 머니스테이션(베트남)</p> <p> </p> <p> - AI 투자솔루션 제공</p> <p> </p> </td> </tr> </tbody> </table> <p> </p> <p> </p> <p> 아울러, 핀테크 투자기관들의 상담부스 15개가 운영되었으며, 성장(Scale-up)과 해외진출 희망기업에 대해 필요한 자금이 공급될 수 있도록 맞춤형 1대1 상담을 진행했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* 우리금융그룹, 신한금융그룹, 하나금융그룹, BNK금융그룹, iM금융그룹, KB금융그룹, 교보생명보험, 한국산업은행, IBK기업은행, 신용보증기금, 미래에셋벤처투자, 코로프라넥스트코리아, 키움인베스트먼트, SK증권 참여</p> <p> </p> <p> </p> <p> 금융위원회는 「핀테크 오픈 네트워킹 데이」 외에도, 올해 11월 예정된 대국민 핀테크 박람회 「코리아 핀테크위크」, 「금융회사-핀테크 상호만남(Meet-up)」 등 핀테크 생태계 구성원 간 지속적인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행사를 이어나갈 계획이다.</p> <p> </p> <p> </p>2025.04.10
-
(보도자료)
[보도자료] 소상공인 대상 신용평가등급 발급 서비스 등 혁신금융서비스 4건 신규 지정 의결
<p>소상공인 대상 신용평가등급 발급 서비스 등 혁신금융서비스 4건 신규 지정 </p> <p>- ‘소상공인 대상 신용평가등급 발급 서비스’ 등 신규 지정 4건</p> <p>- ‘안전하고 편리한 마이데이터 통합인증 체계’ 규제개선 수용 등 의결</p> <p> </p> <p> </p> <p> 금융위원회(위원장 김병환)는 4월 2일 정례회의를 통해 4건의 혁신금융서비스를 신규로 지정하였다. 이로써 현재까지 총 549건의 서비스가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되어 시장에서 테스트해 볼 수 있게 되었다. 이와 더불어, 기존에 지정된 혁신금융서비스 중 지정기간 연장(2건), 규제개선 요청(3건)을 수용하였다.</p> <p> </p> <p> 혁신금융서비스 의결 결과는 다음과 같다.(의결 결과 세부내용 ☞[참고])</p> <p> </p> <p> 금융위는 ㈜한국평가정보의 ‘소상공인 대상 신용평가등급 발급서비스’를 혁신금융서비스로 신규 지정하였다. 이에 따라, 조달 입찰에 참여하는 소상공인이 경영안정성을 증명하기 위해 제출하는 신용평가등급 보고서를 비대면 채널을 통해 편리하고 저렴하게 발급 받을 수 있게 된다.</p> <p> </p> <p> 또한, 카카오뱅크(인터넷전문은행) 및 전북은행(지방은행)의 ‘공동대출 서비스’를 혁신금융서비스로 신규 지정함에 따라, 두 은행은 소비자가 하나의 플랫폼(카카오뱅크 앱)에서 대출을 신청하면, 각각 대출심사를 한 뒤에 함께 대출한도와 금리를 결정하고, 카카오뱅크 앱에서 한 번에 대출 실행을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.</p> <p> </p> <p> 더불어, 디렉셔널의 ‘개인·기관 대상 주식 대차 플랫폼’을 혁신금융서비스로 신규 지정하여 개인과 기관투자자가 주식대차거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, 하나증권의 ‘외국인 통합계좌를 활용한 해외증권사 고객 대상 국내주식 거래서비스’를 혁신금융서비스로 신규 지정하여 외국인 투자자들이 해외의 현지 증권사를 통해 국내주식을 보다 손쉽게 거래할 수 있도록 하였다.</p> <p> </p> <p> 이 외에도 기존에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하였던 나이스평가정보 외 마이데이터사업자 31개사의 ‘금융분야 마이데이터 통합인증 체계’ 및 LS증권의 ‘해외주식 소수단위 거래지원 서비스’에 대해서는 지정기간을 2년 연장하였다.</p> <p> </p> <p> 마지막으로 나이스평가정보 외 마이데이터사업자 29개사의 ‘금융분야 마이데이터 통합인증 체계’와 루센트블록 외 6개사 및 펀블 외 3개사의 ‘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부동산 유동화 수익증권의 디지털화’ 등 혁신금융서비스에 대한 규제개선 요청을 수용하여 규제 특례 없이도 제공될 수 있도록 법령 정비에 착수한다.</p> <div id="__endic_crx__"> <div class="css-diqpy0"> </div> </div>2025.04.02
-
(보도자료)
[보도자료] 제6회 금융회사-핀테크 상호만남(Meet-up) 행사 개최
<p> </p> <table border="1" cellpadding="1" cellspacing="1" style="width:1500px"> <tbody> <tr> <td> <h1> </h1> <h1> 제6회 금융회사-핀테크</h1> <h1> 상호만남(Meet-up) 행사 개최</h1> <p> </p> </td> </tr> <tr> <td> <h3> </h3> <h3>- 금융회사-핀테크 간 협업 기회를 상호 모색할 수 있는 교류의 장으로, 38개 금융회사, 9개 핀테크 기업 및 7개 투자기관 참석</h3> <h3> </h3> <h3>- 협업 성공사례 공유, 핀테크 기업의 사업모델 및 협업 아이디어 발표 후 참석자간 자유롭게 네트워킹</h3> <p> </p> </td> </tr> </tbody> </table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금융위원회는 3월 31일(월), NH농협은행 본점(서울 중구 충정로 소재)에서제6회「금융회사-핀테크 기업 상호만남(Meet-Up) 행사」를 권대영 사무처장 주재로 개최하였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 상호만남 행사는 금융혁신법상「지정대리인」․「위탁테스트」 제도를 활용하여 핀테크 기업과 금융회사간 협업을 촉진하기 위해 23년말부터 분기별로 개최되고 있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 참고로, 지난 5회 행사(’24.12월 개최)에 참여한 9개 핀테크 기업 중 5개사가 보험, 은행, 증권사 등과 매칭되고 이들 중 3개사는 현재 위수탁계약을 체결하고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☞ (참고1) 지정대리인 및 위탁테스트 제도 설명</p> <p> </p> <p> 이번 행사에는 총 38개 금융사, 9개 핀테크 기업, 7개의 투자기관이 참석하여 금융회사-핀테크간 협업 우수사례를 공유하고, 8개의 핀테크 기업은 자사의 사업모델과 협업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기회를 가졌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table border="1" cellpadding="0" cellspacing="0"> <tbody> <tr> <td style="vertical-align:middle"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▪ 일시/장소: ’25. 3. 31.(월) 14:00~16:00 / NH농협은행 본점 3층 대회의실</p> <p> (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20)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▪ 참 석 자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ㆍ[금융위원회] 사무처장, 디지털금융정책관 [금융감독원] 디지털금융총괄국장</p> <p> </p> <p>ㆍ[한국핀테크지원센터] 이사장</p> <p> </p> <p>ㆍ[NH농협은행] 디지털전략사업부문 부행장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ㆍ[금융사랩] BNK금융지주(스토리지B), DGB금융지주(DGB 피움랩), IBK기업은행(IBK 1st LAB), KB금융지주(KB Innovation HUB), NH농협은행(NH오픈비즈니스허브), 교보생명(이노스테이지), 신한금융지주(신한퓨처스랩), 우리금융지주(미래혁신부), 하나은행(1Q Agile Lab), 한화생명(드림플러스63 핀테크센터)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ㆍ[은행] SC제일은행, 웰컴저축은행, 전북은행, 카카오뱅크, 케이뱅크, 토스뱅크, 한국산업은행, 한국씨티은행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ㆍ[보험] AXA손해보험, KDB생명, 라이나손해보험, 롯데손해보험, 삼성화재, 캐롯손해보험, 현대해상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ㆍ[카드] 롯데카드, 삼성카드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ㆍ[증권] DB금융투자, LS증권, 미래에셋증권, 삼성증권, 신영증권, 유진투자증권, 한국투자증권, 한화투자증권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ㆍ[기타] 농협협동조합중앙회, 롯데멤버스, 코스콤 (이상 38개사, 가나다순)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ㆍ[투자기관] KB인베스트먼트, 데일리파트너스, 서울대기술지주회사, 우리벤처파트너스, 인포뱅크, 플럭스벤처스,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 (이상 7개사, 가나다순)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ㆍ[우수사례 발표 핀테크 기업] 펌킨컴퍼니 (1회 행사 발표 기업으로, 위탁테스트 선정)</p> <p> </p> <p> </p> <p>ㆍ[핀테크 기업] 아르고스아이덴티티코리아, 어드바이저로렌, 에임스, 위닝아이, 정우마루, 토모로우, 티디엑스, 파인더스 (8개사, 가나다순)</p> <p> </p> </td> </tr> </tbody> </table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협업 우수사례는 제1회 행사를 통해 보험사와 매칭되어 정식 상용화 계약까지 체결한 ‘㈜펌킨컴퍼니’가 발표하였다. 펌킨컴퍼니는 “사물인터넷(IoT*, Internet of Things) 장치를 활용한 반려동물의 칼로리 및 슬개골 평가 시스템”을 발표하였으며, 동 서비스로 캐롯손해보험과 위탁테스트 제도를 통해 9개월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* 인터넷을 통해 각종 사물(센서, 통신 기능이 내장)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이를 기반으로 자동화 및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동 서비스는 펌킨컴퍼니의 사물인터넷 장치를 통해 수집된 반려동물의 센서 데이터(슬개골 탈구, 식이, 배변/배뇨 등 감지)를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하고, 이를 건강 점수로 연결하여 펫 보험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. 테스트 결과, 양사는 정식 상용화 계약을 체결(’24.1월)하여, 식이·수면 등 데이터를 활용한 “반려견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텔레파시”를 새롭게 런칭하였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한편, 금번 행사에서 협업 아이디어를 제안하게 된 8개 기업들은 발표를 희망하는 핀테크 기업 중에서 서비스의 △혁신성, △실현 가능성, △기업의 서비스 개발 및 테스트 역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한국핀테크지원센터에서 선발하였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☞ (참고2) 발표기업 및 협업 제안 서비스 내용 참고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이들 기업이 추후(핀테크기업 발표 후 약 3주간 금융회사 내부 검토 진행) 금융회사와 매칭되어 위수탁계약을 체결하는 경우, 서비스 개발 및 시범 운용을 위하여 기업당 연간 최대 1.2억원의 테스트 비용지원*을 핀테크지원센터에 신청할 수 있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* 핀테크기업의 재무건전성, 혁신성, 사업역량, 시범운영계획 등을 평가하여 외부 평가위원회에서 비용지원 대상기업 선정 (심사 결과에 따라 지원금액 조정가능)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권대영 사무처장은 “함께 할 때, 금융회사는 혁신성을, 핀테크사는 확장성을 얻을 뿐만 아니라, 미래 금융산업을 선도해 나가는 강력한 시너지 효과도 얻을 수 있다”고 강조하고 “금융회사와 핀테크 간의 협업을 뒷받침하기 위한 규제개선과 정책적 노력을 일관되게 추진해 나갈 것”이라고 밝혔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한편 현장에 참석하지 않은 금융회사도 오늘 발표한 핀테크 기업과 협업을 희망하는 경우, 참고2 하단의 안내에 따라 핀테크지원센터에 문의하면 발표 기업의 협업 신청서와 발표 자료를 공유받을 수 있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<상호만남 행사 관련 문의처></p> <p> </p> <p> </p> <table border="1" cellpadding="0" cellspacing="0"> <tbody> <tr> <td style="vertical-align:middle"> <p> </p> <p>▪문 의 처: 한국핀테크지원센터 금융혁신부(entrust@fintech.or.kr, 02-6375-1521)</p> <p> </p> <p>▪공 고: <a href="https://dtest.fintech.or.kr/" target="_blank">https://fintech.or.kr</a> 홈페이지 공지사항 참고</p> <p> </p> <p>▪신청접수: <a href="mailto:entrust@fintech.or.kr">entrust@fintech.or.kr</a> 이메일 상시 접수</p> </td> </tr> </tbody> </table> <p> </p> <p> </p>2025.03.31
금융규제 샌드박스의 이야기를
영상으로 확인해보세요.
more
금융규제 샌드박스를 설명하는
카드뉴스를 만나보세요.
more
